성과 부진자에 대한 해고의 정당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12 10:36본문
Download : 성과부진자에 대한 해고의 정당성.hwp
10명의 사원이 있다면 이 중 1명(10%)은 최고의 사원이고 다른 1명은 최악의 사원으로 퇴출 대상이다.
A은행의 경우 성과부진자는 HR-성과보상제도에 의해 선정된다 교육훈련·이동배치·평가 등에 의해 성과를 발휘한 직원에 상대하여는 승진·승격 및 임금 등으로 보상하고, 성과를 발휘하지 못한 직원에 상대하여는 바로 퇴직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성과부진자 명예회복제도’에 편입시켜 그 결과에 따라 재배치 또는 이직유도를 행하고 있다아
B사의 경우 MBO가 포함된 인사고과 결과에 따라 저성과자를 선별한다. GE의 이직관리제도는 성과부진자에 대한 퇴출시스템을 사전에 명확히 알려주고, 직원이 입사할 때부터 이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 큰 반발 없이 이직 권유가 받아들여졌으며, 이직하는 직원에게는 기업이 체계적으로 전직 지원을 해줌으로써 큰 무리 없이 시행됐다.
2. 우리나라의 경우
우리나라의 경우 IMF 구제금융사태를 맞아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실시한 금융권에서부터 성과부진자에 대한 인력육성과 이직관리를 결합한 형태의 성과부진자 관리제도가 등장하기 스타트했다. 자신의 등급은 모두 알고 있기 때문에 최하등급 대상자들은 회사를 떠나 새 출발을 하는 것이 모두에게 이익이다”라고 천명해 이를 실행했고 명실공히 GE를 세계 최고의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CEO 잭 웰치는 “사원을 업무성적에 따라 등급을 매기고 최하 10%는 퇴출시켜야 한다. 이런 방식이 다른 기업들보다 혹독한 것일지는 모르지만 이것이 우리 회사의 방식이다.성과 부진자에 대한 해고의 정당성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성과부진자에 대한 해고의 정당성.hwp( 62 )
성과,부진자에,대한,해고의,정당성,법학행정,레포트
설명
성과부진자에 대한 해고의 정당성
1. GE의 성과부진자 관리 事例
GE의 경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Performance(성과)’와 ‘Value(역량)’를 기준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Top(상) 20%, Middle(중) 70%, Bottom(하) 10%로 구분해 Bottom 10%를 이직관리제도의 대상으로 삼는다. 당해 인사고…(drop)
순서
성과 부진자에 대한 해고의 정당성
성과 부진자에 대한 해고의 정당성 , 성과 부진자에 대한 해고의 정당성법학행정레포트 , 성과 부진자에 대한 해고의 정당성
다. 사전 준비와 사후 수습이 병행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이 성공의 열쇠였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