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민중으로 본 한국 歷史(역사) - 실크로드와 경주에 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02 02:33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민중으로 본 한국 역사 - 실크로드와 경주에 관해.hwp
china(중국) 의 수도인 장안을 출발하여 하서 땅에 들어가, 양주를 거쳐 국경 마을 사주에 이릅니다. 비단길이라고 일컫는 실크로드는 고대 china(중국) 과 서역 각국 간에 비단을 비롯한 여러 가지 무역을 하면서 정치, 경제, culture를 이어 준 교통로의 총칭입니다.
이 길은 내륙 아시아 사막에 점점이 이어지는 오아시스 도시를 잇는 카라반 루트로서, 동쪽 토르키스탄에서는 한대 이래 천산산맥의 북쪽을 천산북로, 남쪽을 천산남로라 부르고, 나아가 남로에는 천산남록(南麓)을 따라 서역북도, 곤륜북록을 따라 서역남도가 있었습니다.
실크로드는 쉽게 말하자면 기원전 동서양을 이어준 고속도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사회과학] 민중으로 본 한국 역사 - 실크로드와 경주에 관해.hwp( 18 )
[사회과학] 민중으로 본 한국 歷史(역사) - 실크로드와 경주에 관해
[사회과학] 민중으로 본 한국 역사 - 실크로드와 경주에 관해 , [사회과학] 민중으로 본 한국 역사 - 실크로드와 경주에 관해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민중 본 한국 역사 실크로드와 경주 관해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다. 그 서쪽에 옥문관, 양관(陽關)이 있고, 이의 서쪽이 서역입니다. china(중국) 중원(中原) 지방에서 스타트하여 허시후이랑(河西回廊)을 가로질러 타클라마칸 사막의 남북 가장자리를 따라 파미르(Pamir) 고원, 중앙아시아 초원, 이란 고원을 지나 지중해 동안과 북안에 이르는 길입니다.
사회과학,민중,본,한국,역사,실크로드와,경주,관해,인문사회,레포트
[사회과학] 민중으로 본 한국 歷史(역사) - 실크로드와 경주에 관해
![[사회과학]%20민중으로%20본%20한국%20역사%20-%20실크로드와%20경주에%20관해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F%BC%EC%A4%91%EC%9C%BC%EB%A1%9C%20%EB%B3%B8%20%ED%95%9C%EA%B5%AD%20%EC%97%AD%EC%82%AC%20-%20%EC%8B%A4%ED%81%AC%EB%A1%9C%EB%93%9C%EC%99%80%20%EA%B2%BD%EC%A3%BC%EC%97%90%20%EA%B4%80%ED%95%B4_hwp_01.gif)
![[사회과학]%20민중으로%20본%20한국%20역사%20-%20실크로드와%20경주에%20관해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F%BC%EC%A4%91%EC%9C%BC%EB%A1%9C%20%EB%B3%B8%20%ED%95%9C%EA%B5%AD%20%EC%97%AD%EC%82%AC%20-%20%EC%8B%A4%ED%81%AC%EB%A1%9C%EB%93%9C%EC%99%80%20%EA%B2%BD%EC%A3%BC%EC%97%90%20%EA%B4%80%ED%95%B4_hwp_02.gif)
![[사회과학]%20민중으로%20본%20한국%20역사%20-%20실크로드와%20경주에%20관해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B%AF%BC%EC%A4%91%EC%9C%BC%EB%A1%9C%20%EB%B3%B8%20%ED%95%9C%EA%B5%AD%20%EC%97%AD%EC%82%AC%20-%20%EC%8B%A4%ED%81%AC%EB%A1%9C%EB%93%9C%EC%99%80%20%EA%B2%BD%EC%A3%BC%EC%97%90%20%EA%B4%80%ED%95%B4_hwp_03.gif)
순서
민중으로 본 한국 歷史 - 실크로드와 경주
신라의 경주는 서역에서부터 출발한 실크로드가 당나라 서안을 지나 동쪽 끝으로 이어지는 국제 무역로의 종착지이자 국제 도시였습니다. 총길이 6,400㎞에 달하는 실크로드라는 이름은 독일인 지리학자 리히트호펜이 처음 사용했습니다. 즉, 이 교역로를 통하여 운반된 china(중국) 의 주요 수출품인 비단에 연유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나중에는 여러 갈래의 실크로드가 개발되어 동서양 간의 물류 교역뿐만 아니라 culture의 교류도 활발하였습니다. 한대에는 누란이 북도와 남도의 분기점이고 남도는 체르첸, 호탄, 야르칸도 북도는 카라샤르, 쿠차, 아쿠스, 가슈갈을 경유하여 파미르 고원으로 향합니다. china(중국) 과 서역 간의 교통로인 실크로드는 육로뿐만 아니라 바다의 실크로드도 있었습니다. 그후 옥문관에서 쿠물, 투르판을 거쳐 카라샬에 이어지는 새 길이 만들어져서, 누란을 경유하는 옛길이 건조가 심하여 쇠퇴한 것과 동시에 북도의 간선이 되었습니다. 현재 china(중국) 에서는 ‘사주지로(絲綢之路)’고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