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명사들의 친일행각 - 김활란과 모윤숙 -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21 11:18
본문
Download : histo13.hwp
순서
김활난,모윤숙,친일여성,부르주아민족주의,민족말살정책,인문사회,레포트
설명
1.서론 , 2.본론, 1)김활란의 눈부신 인생, 2)모윤숙의 활동내력, 3)두 인물의 사상적 뿌리는 부르주아민족주의, 4)강연으로, 시로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에 앞장서다, 5)대의명분을 위해 학교 세우고 속으로는 재산 챙겨, 6)해방된 땅에서도 여전히 유명 인사로 군림, 3.결론, , FileSize : 32K , 여성 명사들의 친일행각 - 김활란과 모윤숙 -인문사회레포트 , 김활난 모윤숙 친일여성 부르주아민족주의 민족말살정책




1.서론 , 2.본론, 1)김활란의 눈부신 人生(인생), 2)모윤숙의 활동내력, 3)두 인물의 사상적 뿌리는 부르주아민족주의, 4)강연으로, 시로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에 앞장서다, 5)대의명분을 위해 학교 세우고 속으로는 재산 챙겨, 6)해방된 땅에서도 여전히 유명 인사로 군림, 3.結論(결론), , 다운로드 : 32K
여성 명사들의 친일행각 - 김활란과 모윤숙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histo13.hwp( 61 )
1.서론
2.본론
1)김활란의 눈부신 인생
2)모윤숙의 활동내력
3)두 인물의 사상적 뿌리는 부르주아민족주의
4)강연으로, 시로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에 앞장서다
5)대의명분을 위해 학교 세우고 속으로는 재산 챙겨
6)해방된 땅에서도 여전히 유명 인사로 군림
3.conclusion(결론)
일제시대 친일행위를 한 사람들 중에는 여성들도 빠지지 않았다.그 중에서도 대표적으로 김활란과 모윤숙을 꼽을 수 있다아 이 두 사람을 선택한 이유는 그 당시 친일활동에서 ‘가장 많이’ 라고 할 정도로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두 인물, 특히 김활란을 다루는데 있어 꽤 심리적 부담을 안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남한에서 이름있는 여성 명사들 중에 그의 effect(영향) 을 받지 않은 사람들이 거의 없을 정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시 그들의 활동을 다루는 데 있어 그들을 ‘이해하는’ 입장을 취하려 해도, 아무리 소극적으로 친일활동을 했다 하더라도 친일은 역시 친일이며, 또한 왜 친일한 인물들이 사회에서 이토록 중요한 사회적 지위에 있는가? 왜 지금까지도 그런 인물들이 일반인에게 찬양 받고 추앙 받는 인물이 되어 있는가? 하는 점이 의문으로 남아있다아 어려운 시기에 지조를 지키지 못하고 강대국에 굴복하는 사람들이야 …(skip)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