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속요의 형성 및 전승 과정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24 00:54
본문
Download : 고려 속요의 형성 및 전승 과정 고찰.hwp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고려 속요의 형성 및 전승 과정 고찰.hwp( 31 )
1. 서론
2. 속요의 형성 과정
2-1 삼국 음악의 effect(영향)
2-2 속요의 형성 배경과 歷史적 environment(환경)
2-3 민요의 속요화에 따른 唐樂의 역할
3. 속요의 전개 과정
4. 조선시대의 고려속요 수용 양상
5. 결론
1. 서론
속요는「악학궤범」,「악장가사」,「시용향악보」,『고려사』「악지」등에 실려있는 고려시대의 노래로, 長歌 조윤제, 「한국문학사」, 동국文化사, 1963.
·별곡 이병기·백철, 「국문학전사」, 신구文化사, 1957.
·俗謠 이명구, 「고려가요의 연구」, 신아사, 1973.
·청산별곡류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文化사, 1977.
·高麗歌謠, 俗樂歌詞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나 보편적으로 高麗俗謠(俗謠)라는 이름으로 통용되고 있다아
이 때까지 고려속요라 일컬어 온 작품은 <동동> <정읍사> <정읍사>는 『고려사』「악지」에 ‘백제악’으로 분류되어 있으나「악학궤범」에 가사가 실려 있어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고려 속요로 보고 있다아
<처용가> <정과정> 조윤제님은 <정과정곡>을 신라 향가의 10구체 계통이라 하였고, 정선풍님은 평범한 속요라기보다는 11구체 정격 향가의 계승물로 보아야 한다고 하였다.한국시가사연구 , 고려 속요의 형성 및 전승 과정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시가사연구
다.
조윤제, 「韓國詩歌史綱」, 을유文化사, 1954.
정선풍, 「고려시대의 가요 문학」, <고려 가요의 형태적 고찰>, 새문사, 1986.
<정석가> <청산별곡> <서경별곡> <사모곡> <쌍화점> <이상곡> <가시리> <만전춘별사> <상저가> <유구곡> 등인데, 이 노래들이 과연 모두 麗代의 작품들이냐 하는 것도 쉽사리 단정을 내릴 수 없는 문제이다. 장사훈님의 <靑山別曲> <西京別曲> <風入松> 등에 관한 연구를 예로 들 수 있다아
「國樂論攷」, 서울대출판부, 1966.
속요의 대부분이…(To be continued )
설명
고려 속요의 형성 및 전승 과정 고찰
고려 속요의 형성과 전승과정에 관하여 분석하여 쓴 글입니다.
고려 속요의 형성과 전승과정에 관하여 분석하여 쓴 글입니다. 이 노래들을 麗代의 작품으로 추정해 온 근거로는『고려사』「악지」<속악>조에 그 歌名이 밝혀져 있는 점과 이제현의 解詩 및 조선조에 들어서 淫詞니 鄙俚之詞니 하여 刪改의 대상이 된 점 등을 들 수 있다아 최동원, 「고려시대의 가요 문학」, <고려속요의 향유계층과 그 성격>, 새문사, 1986.
그리고 음악면에서 조선 초의 악보와의 비교 및 고려조 전래 음악 상호간의 비교를 통해서 보다 신빙성을 더한 견해를 발표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