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부지와 그 사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8 01:12
본문
Download : 왕부지와 그 사론_121421.hwp
」「계지자, 선야, 성지자, 성야」란 명제를 발전시켜 그의 인성론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을 구분하였다. 생동의 우주론을 배경으로 삼고 있으므로 반드시 천도의 기화 류행에서 언급되어야만 한다. 그런데 왕부지는 기밖에는 텅빈 데 의탁하여 고입된 리가 더욱이 없다고 하여, 리는 단지 기의 리이며, 리기가 모두 선하므로,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의 구분을 없애 버렸다. 선은 천도의 기화 류행과 인간이 서로 주고받을 …(drop)
Download : 왕부지와 그 사론_121421.hwp( 50 )
레포트/인문사회
왕부지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하였는데 그것은 계선성성론과 성명일생일성론에 기초를 둔 것이었다.
왕부지의 선의 definition 은 계의 definition 과 뗄 수 없다.






1. 계선성성론. 왕부지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하였는데 그것은 계선성성론과 성명일생일성론에 기초를 둔 것이었다. 이학에서는 천을 리로 說明(설명) 하고, 리를 갖추고 있으므로 그 성은 선하지 않음이 없다고 하였다. 그것은 종래 이학이... , 왕부지와 그 사론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1. 계선성성론.
왕부지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하였는데 그것은 계선성성론과 성명일생일성론에 기초를 둔 것이었다. 천은 리와 기로 인간과 만물에 명을 내리고, 인간과 만물은 이것을 받아서 자기의 본성을 이루는데, 이것이 바로 천도의 계승이다. 왕부지의 기학체계에서 천도는 선하지 않음이 없으므로, 선, 불선은 천도 그 자체에서 말할 수는 없다. 그것은 종래 이학이나 심학의 인성론과 완전히 다른 논리로 전개된 것이다. 따라서 그는 기질지성에다 악의 근원을 돌리지 않았다. 그것은 종래 이학이...
설명
1. 계선성성론.
왕부지와 그 사론
순서
다. 그는 주역의 「도를 이어가는 것이 선이요 이것을 이루어 놓은 것이 성이다. 천도는 인간과 만물이 명을 받아서 성을 이룩할 때가 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