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수장environment의 개념설정과 설계지표에 관한 연구 - 박물관 environment디자인에 관한 기초적 연구(7…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8 02:12
본문
Download : 박물관 수장환경의 개념설정과 설계지표에 관한 연구 - 박물관 환경디자인에 관한 기초적 연구(7).hwp
아교나 칠(漆)도 오래되면 수분을 흡습‧방습함에 따라 신축하는 성질을 갖고 있따 이러한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는 유물의 경우에는 주위의 습도조건에 매우 민감하며, 습도alteration(변화) 에 따라 내부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목재를 기본으로 한 칠기 또는 채색 무늬 등은 균열, 박리, 변형 등 습도 alteration(변화) 가 원인(原因)인 경우가 많으며, 특히, 환경alteration(변화) 에 따른 건조‧가습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국내 수장환경의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공립의 대형 프로젝트의 기본계획 연구가 시작되어 비교적 수장환경의 개념이 정립되어가는 시기로 판단되는 1995년 신축되거나 증․개축된 국내의 10개 박물관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3. 수장환경의 조닝과 시설 조건 검토
박물관에 적용되고 있는 실내환경에 대상으로하여는 일반적으로 ICOM, UNESCO, ASHRAE, Thomson 등에 의해 제안된 것이 사용되고 있따 이러한 실내 환경은 문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 온도는 건구온도 16~24℃, 상대습도 45~60%로 되어 있으며, 유물의 종류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따유물보존의 관점에서 일반공조와 비교하면 상당히 저온의 실내조건이 요구되고 있으며, 사실상 박물관 실내의 모든 공간을 이러한 조건으로 유지하는 것은 환경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곤란하므로 실제로는 죤별로 크게 실내환경에 차이를 부여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 박물관 수장환경의 개념설정과 설계지표에 관한 연구 - 박물관 환경디자인에 관한 기초적 연구(7)생활전문레포트 ,
박물관 수장environment의 개념설정과 설계지표에 관한 연구 - 박물관 environment디자인에 관한 기초적 연구(7)
,생활전문,레포트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과 방법
2. 보존환경의 조건과 요소
3. 수장환경의 조닝과 시설 조건 검토
4. 수장고의 환경시스템과 설계요소
4.1. 환경제어방식의 비교
4.2. 수장고의 설계요소
5. 종합고찰
공기중의 수분이 유물의 재질과 직접 작용하는 것과는 달리 특별한 원인(原因)에 의한 열화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따 예를 들어 색조의 퇴색은 보통 공기중의 산소에 의한 산화가 빛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라고 알려져 왔으며, 주위 환경이 습할 경우 퇴색속도가 빠르게 된다 또한, 철이나 동․청동의 녹이 스는 것도 습도가 높을수록 그 진행이 빠르게 된다 이때 습도가 40%이하가 되면 거의 녹이 슬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따 그리고 종이 등 셀룰로오즈 재질의 경우도 습한 환경일수록 빨리 열화가 진행된다
- 습도에 의한 기계적인 열화
우리나라 유물중에는 종이류나 목재류의 식물성 재료를 사용한 것이 많다.
설명
박물관 수장environment에 있어서 유물의 속성을 고려한 보존과학적 입장을 공간계획에 접목시키기 위한 개념설정과 이에 적절한 environment시스템에 대한 방향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순서
다. 또한 본 연구는 1995년 이후 개시된 국․공립의 대형 프로젝트인 국립중앙박물관, 정보통신박물관, 국립자연사박물관 등의 건립 기본계획 연구 보고서(국민대 서상우 연구실 주관, 필자 연구실은 전시․수장 분야 연구 담당)의 건축, 전시, 수장분야 연구의 참가에 의해 획득된 유럽, 미국, 일본의 다수 박물관에 대한 현지 관찰 조사(약 200개소 이상) 및 1988년 부터 1997년 사이에 행한 수장부분의 environment 조사 정보를 데이터화 하고, 1996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행한 공조environment 조사 보고서의 데이터를 정리, 추출한 것이다.
박물관 수장환경에 있어서 유물의 속성을 고려한 보존과학적 입장을 공간계획에 접목시키기 위한 개념설정과 이에 적절한 환경시스템에 대한 방향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1995년 이후 개시된 국․공립의 대형 프로젝트인 국립중앙박물관, 정보통신박물관, 국립자연사박물관 등의 건립 기본계획 연구 보고서(국민대 서상우 연구실 주관, 필자 연구실은 전시․수장 분야 연구 담당)의 건축, 전시, 수장분야 연구의 참가에 의해 획득된 유럽, 미국, 일본의 다수 박물관에 대한 현지 관찰 조사(약 200개소 이상) 및 1988년 부터 1997년 사이에 행한 수장부분의 환경 조사 정보를 데이터화 하고, 1996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행한 공조환경 조사 보고서의 데이터를 정리, 추출한 것이다.따라서 본 연구는 필자에 의해 발표된 유물의 수장화 과정과 공간특성을 논한 논문 및 박물관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2~6)의 연장선상에서, 박물관의 전시․수장환경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유물의 재질별 환경조건을 보존과학적 견지에서 관련 문헌, 보고서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를 특히 공조환경시스템과의 관계에서 분석하여 최종적으로는 설계의 요소에 지원 가능한 지표들에 대한 단계적 연구이다.죤의 구분으로서는 일반적으로 ①수장고, ②전시케이스, ③전시실(상설전시실, 기…(drop)
Download : 박물관 수장환경의 개념설정과 설계지표에 관한 연구 - 박물관 환경디자인에 관한 기초적 연구(7).hwp( 50 )
레포트/생활전문
따라서 본 연구는 필자에 의해 발표된 유물의 수장화 과정과 공간property(특성)을 논한 논문 및 박물관 environment디자인에 관한 연구(2~6)의 연장선상에서, 박물관의 전시․수장environment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유물의 재질별 environment조건을 보존과학적 견지에서 관련 문헌, 보고서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를 특히 공조environment시스템과의 관계에서 analysis하여 최종적으로는 설계의 요소에 지원 가능한 지표들에 대한 단계적 연구이다. 또한 국내 수장environment의 실태(實態)와 property(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공립의 대형 프로젝트의 기본계획 연구가 시작되어 비교적 수장environment의 개념이 정립되어가는 시기로 판단되는 1995년 신축되거나 증․개축된 국내의 10개 박물관을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목재류는 이방성(anisotropic)재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