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文化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5-13 06:16
본문
Download : 놀이문화.hwp
`인다리`는 인교(人橋)라는 말로, 수십 명의 부녀자들이 한 줄로 길게 늘어서서 허리를 굽히고 앞 사람의 허리를 두 손으로 껴 안아, 긴 다리를 만드는 데에서 온 이름이다.
의성의 민속 사례(instance)
- 놀이culture를 중심으로
`의성 기와밟기` 1. 의성 기와밟기
놋다리 밟기는 작은 보름과 대보름날 밤에 경상북도 일대에서 부녀자들이 행하던 놀이로 의성에서는 `기와밟기`라고 하며, `동교(銅橋)`,`인다리` 등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의성의 `기와밟기`는 허리를 굽힌 모양이 휘여진 골기와와 닮았다 하여 붙여진 것이다. 이 사이에 말 위의 두 사람은 서로 엉겨 붙어서 상대를 말에서 떨어뜨리려는 육탄전을 벌인다. 놋다리를 次例로 건너고 다시 만드는 과정을 반복하며 다리를 빨리 건너가는 내기를 하며, 이 때 남자들은 농악을 치고 함성을 질러서 응원해 준다. 그리고 이것이 끝나면 `꼬께내기`라고 하여 다소 우악스러운 경기를 벌인다. 이 싸움은 어느 쪽이든지 말에서 떨어지는 쪽이 패하게 된다
`의성 기와밟기 민화`그리고 또 다른 곳에서는 다리를 걸어갈 동자(童子)와 공주(公主)를 미리 뽑아 성장을 시키고 등 위를 걸어가게 하며 좌우 양쪽의 시녀 두 사람이 손을 높이 들어 부축해 준다. 건강한 여자 네 사람이 손을 미음자 모양으로 잡아 목마를 만들고 이에 힘이 좋고 뚝심이 센 여자를 태우며 말 주위에 호위꾼을 세운다. `기와밟기`는 부녀자들이 남북 양편으로 갈라져서 놋다리를 만들어 맨 뒷 쪽의 사람부터 한 사람씩 순서대로 건너게 하고 다 건너간 뒤에는 내려서 그 자리에 허리를 굽히고 놋다리를 구성한다. 엎드린 사람은 공주가 지나간 뒤, 다시 앞으로 나아가 허리를 굽힌다. 양편의 말이 근접하면 서로 옷이나 머리채를 잡아채고 상대방을 밀어내려고 애 쓰며 관중들은 응원으로 고함을 지르고 농악대는 깨어질듯 한 소리를 낸다.
또 노래를 부르는 순서는 맨 앞에 선 창립(創笠)들이 선창하면 뒤에 따르는 사람들이 후렴을 받아 하는데, 노래의 곡목은 시집살이 노래 베틀가 등 다양하다.…(투비컨티뉴드 )
설명
순서
Download : 놀이문화.hwp( 81 )
놀이文化
놀이문화,인문사회,레포트
놀이文化





레포트/인문사회
놀이문화 , 놀이문화인문사회레포트 , 놀이문화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