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에 대한 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17:26본문
Download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에 대한 요약.hwp
현재까지도 이 사건은 근대 Japan제국주의의 대한침략을 상징하는 대표적 사건의 하나로 한국민의 뇌리에 각인되어 있다아
그러나 이 사건의 배후에 상대하여는 아직까지도 잘 밝혀져 있지 않다.
명성황후,시해,사건,전모,요약,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에 대한 요약.hwp( 77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에 대한 요약
1. 명성황후 시해 사건
1895년 10월 8일 새벽 5시 30분경 서울의 경복궁에서는 세계사상 유례가 없는 만행이 Japan의 군과 경찰, 정체불명의 민간인들에 의해 합동으로 자행되고 있었다. 얼마 후 청년 김창수(백범 김구의 초명)가 Japan군 밀정을 살해하고 독립운동에 투신한 것이나 안중근 의사가 이토를 사살한 중요한 계기도 바로 이 것이었다. 당초부터 은밀히 진행된 사건인데다가 사건 직후부터 철저히 자행된 Japan측의 자료(資料) 인멸과 왜곡 때문일것이다 미우라는 대원군이 이 사건을 주모하였으며 왕후의 시해는 조선군 훈련대가 자행한 것이라고 위증하였는가 하면, 공정한 재판을 통해 불명예를 씻겠다던 Japan政府는 증거 불충분이라는 이유를 들어 범죄에 관련된 Japan군민 모두를 무죄방면하였다. 그 결과 한국민 일반에게는 이 사건이 Japan의 국가적 범죄라는 것이 상식화되어 있는 반면, Japan에서는 이 사건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이들이 많지 않다. 10여 년 전 Japan의 여성 작가인 쓰노다 후사코 여사의 글에서 사건의 내막이 Japan인들에게 널리 …(To be continued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에 대한 요약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에 대한 요약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에 대한 요약인문사회레포트 , 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 요약
명성황후 시해 사건 전모에 대한 요약
순서
다.
이 사건은 19세기 말 항일의병이 봉기하는 Cause 이 되었고 이듬해 초에는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는 사태까지 몰고 왔다. 주한Japan공사 미우라의 지시하에 서울 주둔 Japan군 수부대를 주요 무력으로 삼아 Japan공사관원, 영사경찰, 신문기자, 낭인배 등이 경복궁을 침입하여, 민왕후(1897년 명성황후로 추존)를 살해하고 시신을 불태워버린 것이다. 나아가 사건 현장에 참여했던 기쿠치 겐죠, 고바야카와 히데오 등 한성신보사(서울의 Japan신문사)의 일인기자는 후일이 저작(<대원군> <조선근대사> <민후저락사건> <조선잡기> 등)을 통해 대원군과 왕후의 갈등구도로서 한국근대사를 날조하였고 이 사건에 상대하여도 그런 식으로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