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학살사건의 사회학적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21:04본문
Download : 제주 43 학살사건의 사회학적 연구.hwp
그 이전의 주목할 만한 학술적 연구는 ‘4·3’을 우익적 관점에서 해석한 김점곤(1973)의 ꡔ한국전쟁과 노동당전술ꡕ과 수정주의적 입장에서 쓰여진 메릴(1980)의 “The Cheju-do Rebellion”이다.
는 ‘제주도 반란’의 요인을 제주도 저항의 전통 및 미군정이 대한정책의 측면에서 규명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민의 뿌리 깊은 불만과 저항, 분리주의 전통, 총…(skip)
다.
김점곤(1973)의 연구는 ‘4·3 폭동’이 남로당 중앙당의 지령에 의해서가 아닌 제주도당이 독자적으로 봉기한 예외적인 무장투쟁이었음을 보여준다.설명
순서
Download : 제주 43 학살사건의 사회학적 연구.hwp( 38 )






레포트/경영경제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그의 박사학위 논문인 “Internal Warfare in Korea, 1948~50: The Local Setting of the Korean War”가 ꡔ침략인가, 해방전쟁인가ꡕ(1988)로 국내에 번역 introduction되었다.
제주4·3학살사건의사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는 ‘4·3 폭동’의 요인으로 제주도의 제한된 특수 環境, 미군정과 본토인 특히 경찰에 대한 경원, 3·1절의 경찰 총격 그리고 서북청년단 등 반공 청년단체에 대한 증오감정 등을 지적하고, 남로당 제주도당이 이러한 조건들을 단선·단정반대 운동에 성공적으로 결합시켜 발생한 사건이라고 보고 있따 메릴(1980)의 연구 메릴의 “The Cheju-do Rebellion”은 1975년 미국의 하버드 대학에서 석사학위 논문으로 발표된 것이지만, 국내에 introduction된 것은 이 논문이 1980년에 간행된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 2 에 수록된 이후이다.그럼 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제주4·3학살사건의사 , 제주 4*3 학살사건의 사회학적 연구경영경제레포트 ,
그럼 data(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제주 4*3 학살사건의 사회학적 연구
,경영경제,레포트
제 1 장 서론
1절 문제제기 -------------------------------------------------- 1
2절 연구대상 -------------------------------------------------- 1
3절 기존연구 검토와 연구방법 ------------------------------------ 5
(1) 제주 4·3 사건 연구 검토와 본 논문의 연구방법 ---------------- 6
(2) 제주 4·3 학살사건의 사회과학적 해석을 위한 배경정이 --------- 10
1) 근대국가 건설과 학살 ------------------------------------- 10
2) 공격성 투사, 복종범죄와 승인된 학살 ------------------------ 12
3) 학살을 정당화시키는 이데올로기적 과정: ‘비인간화’ 이데올로기의 형성 - 15
4절 연구reference(자료) ------------------------------------------------- 17
제 2 장 제주 4·3 사건의 배경과 전개
1절 국가건설 과정과 초기 제주도 상황 ---------------------------- 21
(1) 해방 직후의 정세: 해방의 성격과 歷史(역사)적 assignment ----------------- 21
(2) 해방 이후 제주도 상황의 전개 ------------------------------ 26
2절 제주 4·3 사건의 발발과 초기 전개 과정 ----------------------- 31
3절 소결: 제주 4·3 사건 초기 국면의 의미와 쟁점 ------------------ 38
제 3 장 ‘초토화작전’에 따른 대량학살의 배경과 실상
1절 ‘초토화작전’의 정치사회적 배경 ------------------------------ 41
2절 ‘초토화작전’과 대량학살의 실상 ------------------------------ 47
(1) 제1기(1948. 10. 20~12. 31) : 사태의 유혈기 ------------------- 47
(2) 제2기(1949. 1. 1~3. 1) : 육·해·공 합동토벌기 --------------- 53
(3) 제3기(1949. 3. 2~5. 15) : 선무활동기 ------------------------ 57
3절 소결: 제주 4·3 사건 후기 국면의 의미와 쟁점 ------------------ 59
제 4 장 대량학살 시기의 제주 4·3 사건에 대한 사회과학적 해석
1절 학살의 사회구조: 억압적 국가기구의 형성과 이승만 정권의 성격 ---- 65
2절 학살의 심리구조: 복종범죄와 심리적 순응과정이 문제 ------------- 74
3절 학살의 이데올로기: ‘비인간화’ 이데올로기 형성 ------------------ 83
제 5 장 conclusion(결론) ----------------------------------------------- 92
bibliography --------------------------------------------------- 99
Abstract -------------------------------------------------- 109
3절 기존연구 검토와 연구방법
(1) 제주 4·3 사건 연구 검토와 본 논문의 연구방법
3절 기존연구 검토와 연구방법
‘북한의 사주에 의한 공산폭동’이라는 formula(공식) 사관에서 벗어나 제주 4·3 사건의 歷史(역사)적·사회적 사실 자체에 대해 본격적으로 학술적인 연구가 처음 된 것은 1987년 6월 항쟁 이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