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항과 명치유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8-07 05:03본문
Download : 개항과 명치유신.hwp
Download : 개항과 명치유신.hwp( 79 )
개항과명치유신
다.개항과명치유신 , 개항과 명치유신자연과학레포트 ,
1. 강호막부 후기의 變化(변화) 양상
2. 개항의 배경
3. 개항
4. 존왕양이운동
5. 명치유신의 전개
6. 문명개화
1. 강호막부 후기의 變化(변화) 양상
1) 경제적 變化(변화): 농업생산의 증가와 인구의 정체
⑴ 생산력의 증가: 1720~1830년대 농업생산력 증가. 반면 인구는 거의 정체
ex)1720년 2,650만→1820년 2,720만. 잉여생산층의 증가
- 인구정체요인: 빈곤으로 인한 인구억제ㆍ영아살해(마비끼간인)
⑵ 상업 등 유통경제의 발달: 병농분리제도로 상업발달, 도시발달. 도로망, 교통의 발달.
2) 사회계층의 분화
⑴ 농촌내부의 變化(변화): 농민층 분해현상 - 소작농의 전락과 유력농민의 신전개발
⑵ 무사계층의 몰락: 성하정과 병농분리로 사무라이와 타계층의 분리. 무사봉록을 당시 쌀로 환산해 주었는데 물가상승에 따른 사무라이의 상대적 궁핍. 경제적 유력층으로 부상한 상인층과의 갈등
3) 봉건개혁의 실시: 막부는 사회, 정치가 혼란해지자 이를 만회하기 위한 일련의 개혁을 실시. 지배층 중심의 복고적 개혁, 쇠퇴기에 대한 체제내적 미봉책(;Feudal Reaction)의 한계를 노정
- 3대개혁ꠏꠇꠏ향보(교오호오)개혁: 1720년대 복고적 성격 ┑마침 흉년, 기근, 지진, 화산폭발
+xxx;ꠏ관정(간세이)개혁: 1780~90년초 복고적 성격 ┚등이 발생
ꠌꠏ천보(덴뽀오)개혁: 1840년 전후. 일부 번의 성공
4) 란학: 네덜란드(화란)과의 교섭을 통한 서양지식과 문화의 수용. 역관양성. 특히 의학을 통한 난학의 기초 ex) 스기다 겐바구(삼전현백)의 번역서 ꡔ해체신서ꡕ(1771)
2. 개항의 배경
1) 외압의 점증
⑴ 러시아: 1751년 Siberia진출을 끝내고 북해도 진출을 모색→북해도 개항을 지속적으로 요구
⑵ 영국: 통상항로와 日本(일본)시장의 확보를 위해
⑶ 미국: 1837년 미국 Morison호 난파, 표류선원의 구조요청을 日本(일본)이 거절
2) 중…(To be continued )




순서
설명
일본 강호막부 후기에 나타난 개항과 명치유신의 전개에 관련되어 조사하였습니다.
개항과 명치유신
레포트/자연과학
,자연과학,레포트
일본 강호막부 후기에 나타난 개항과 명치유신의 전개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