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농-누가 지구를 지켜왔는가]를 읽은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22:40
본문
Download : [소농-누가 지구를 지켜왔는가]를 읽고.doc
저자가 주장하는 부분은 꽤 설득력이 있따 그렇다고 우리가 눈에 보이지 않는 농약을 마구 먹고 살 수는 없지 않은가? 유기농이냐 아니냐 문제를 떠나 풍토를 잘 파악하고 주변environment의 위험 요소가 없는지 철저한 조사가 이루어지는 등 이런 부분에 대한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요즘 제임스 콜만의 [내추럴리 데인저러스]라는 책의 광고를 본 적이 있따 이 과학자가 주장하고 싶은 것은 유기농이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인데, 즉 세균 오염으로 인체에 더 치명적일 수 있다는 등의 논리이다. 여기서 논지는 농약으로 버무린 과일, 채소를 택할 것인가 아니면 유기농 식자재를 취할 것인가의 단순한 선택은 아니라고 본다.
`소농-누가 지구를 지켜왔는가`(쓰노유킨도)를 읽은후 느낀바를 작성한 것입니다.
순서
,감상서평,레포트
FTA다 뭐다 외국 농수산물이 물밀 듯 들어오는 세계화 시대에 국가 경쟁력을 차치할 수는 없는 일이다. 국가가 농촌을 떠나는 젊은이들의 대체 생계수단이 될 밑거름을 만들어주는 사회구조도 형성하지 못하는 현실인데도 말이다. 미래를 내다 볼 떄 1차. 2차, 3차 산업이 골고루 배치되어야 톱니바퀴가 돌아가 듯 국가가 번성할 터인데….. 매스컴을 통해서도 그렇고 주변에서도 보듯이 도시에서의 생활을 접고 귀촌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그 사람들이 선택하게 된 계기는 각기 다른 것이지만 많은 케이스에서 보…(drop)
레포트/감상서평
Download : [소농-누가 지구를 지켜왔는가]를 읽고.doc( 27 )
소농
[소농-누가 지구를 지켜왔는가]를 읽은후
`소농-누가 지구를 지켜왔는가`(쓰노유킨도)를 읽고 느낀바를 작성한 것입니다. 매스컴을 통해서 보는 농촌은 젊은이들이 거의 없고 거의 노인들이 생계를 유지하며 살아가는 모습이다.
지난 몇 십 년에 걸쳐 농업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미약하여 현재의 농촌 현실이 참으로 안 좋아 보인다. 하지만 겉으로만 보이는 경쟁력만을 논해서 먼 미래가 보장될 수 있을까? 그 경쟁력을 내세우는 행정체계가 화학비료의 난발, 산업 폐기물의 누적, 농지의 황폐화 등으로 얼룩져왔지 않는가? 이를 반성하고 우려하는 움직임에서 유기농법, 자연농법을 통한 재배가 요즘 많이 행해지고 있따 이런 농법이 바로 우리 소농이 일궈오던 방식이 아니던가. 소농은 향토애를 가지고 풍토를 잘 알고 활용해온 자들로서 environment을 보존하는데 일조를 해온 것이다.소농 , [소농-누가 지구를 지켜왔는가]를 읽고감상서평레포트 ,
설명
![[소농-누가%20지구를%20지켜왔는가]를%20읽고_doc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6%8C%EB%86%8D-%EB%88%84%EA%B0%80%20%EC%A7%80%EA%B5%AC%EB%A5%BC%20%EC%A7%80%EC%BC%9C%EC%99%94%EB%8A%94%EA%B0%80%5D%EB%A5%BC%20%EC%9D%BD%EA%B3%A0_doc_01.gif)
![[소농-누가%20지구를%20지켜왔는가]를%20읽고_doc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6%8C%EB%86%8D-%EB%88%84%EA%B0%80%20%EC%A7%80%EA%B5%AC%EB%A5%BC%20%EC%A7%80%EC%BC%9C%EC%99%94%EB%8A%94%EA%B0%80%5D%EB%A5%BC%20%EC%9D%BD%EA%B3%A0_doc_02.gif)
![[소농-누가%20지구를%20지켜왔는가]를%20읽고_doc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6%8C%EB%86%8D-%EB%88%84%EA%B0%80%20%EC%A7%80%EA%B5%AC%EB%A5%BC%20%EC%A7%80%EC%BC%9C%EC%99%94%EB%8A%94%EA%B0%80%5D%EB%A5%BC%20%EC%9D%BD%EA%B3%A0_doc_03.gif)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