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사소송법] 관련재판적 합의 관할 변론관할 정리(arrangement) 3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31 11:18
본문
Download : [민사소송법] 관련재판적 합의관할 변론관할 정리.hwp
Download : [민사소송법] 관련재판적 합의관할 변론관할 정리.hwp( 51 )
민사소송법 관련재판적 합의 관할 변론관할 정리 3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사물관할의 경우는 소가를 합산하여 관할을 정함이 원칙이다. 따라서 원시적 병합이든, 후발적 병합이든 또는 추가적 병합이든, 교환적 변경이든 불문한다.
공동소송에의 적용여부는 입법에 의하여 절충설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제65조 전문에 해당되는 공동소송(필수적공동소송에 적용-判), 즉 공동피고 간에 실질적 결련관계가 있는 공동소송이면 어느 한 피고에 대하여 관할권이 있는 법원에 다른 피고에 대한 청구도 공통의 관할권을 인정하여 거기에 몰아 병합제기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다만, 다른 법원의 전속관할에 속하는 청구에는 제25조의 적용이 배제된다.
1. 관련재판적 (1) 의의 원고가 하나의 소로써 여러청구를 하는 경우에...
(2) 적용요건
청구병합의 시기나 모습에 제한이 없다.
1. 관련재판적
![[민사소송법] 관련재판적 합의관할 변론관할 정리-6883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11/%5B%EB%AF%BC%EC%82%AC%EC%86%8C%EC%86%A1%EB%B2%95%5D%20%EA%B4%80%EB%A0%A8%EC%9E%AC%ED%8C%90%EC%A0%81%20%ED%95%A9%EC%9D%98%EA%B4%80%ED%95%A0%20%EB%B3%80%EB%A1%A0%EA%B4%80%ED%95%A0%20%EC%A0%95%EB%A6%AC-6883_01_.gif)
![[민사소송법] 관련재판적 합의관할 변론관할 정리-6883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11/%5B%EB%AF%BC%EC%82%AC%EC%86%8C%EC%86%A1%EB%B2%95%5D%20%EA%B4%80%EB%A0%A8%EC%9E%AC%ED%8C%90%EC%A0%81%20%ED%95%A9%EC%9D%98%EA%B4%80%ED%95%A0%20%EB%B3%80%EB%A1%A0%EA%B4%80%ED%95%A0%20%EC%A0%95%EB%A6%AC-6883_02_.gif)
![[민사소송법] 관련재판적 합의관할 변론관할 정리-6883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11/%5B%EB%AF%BC%EC%82%AC%EC%86%8C%EC%86%A1%EB%B2%95%5D%20%EA%B4%80%EB%A0%A8%EC%9E%AC%ED%8C%90%EC%A0%81%20%ED%95%A9%EC%9D%98%EA%B4%80%ED%95%A0%20%EB%B3%80%EB%A1%A0%EA%B4%80%ED%95%A0%20%EC%A0%95%EB%A6%AC-6883_03_.gif)
설명
(3) 관련재판적의 공동소송에 적용여부
관련재판적이 인정되면 원래 관할권이...
1) 종래의 견해 대립
종래 이에대하여는 ⅰ)공동소송에 전멱적으로 적용된다는 적극설, ⅱ)다른 피고들의 관할 규정상의 이익을 해치게 되므로 공동소송에 적용할 수 없다는 소극설(判), ⅲ)공동소송 가운데 제65조 전문의 공동소송에만 적용된다는 절충설의 대립이 있었다.
[민사소송법] 관련재판적 합의 관할 변론관할 정리(arrangement) 3
3) 다른 법원의 전속관할에 속하는 청구가 아닐 것
2) 수소법원이 수 개의 청구 중 적어도 한 청구에 관하여 관할권이 있을 것
1. 관련재판적 (1) 의의 원고가 하나의 소로써 여러청구를 하는 경우에...
4) 토지관할에 한 한다. 단 객관적 병합의 요건은 갖추어야 한다.
(1) 의의
2) 1990년 개정 민사소송법 제25조제2항
1) 한 개의 소로써 수개의 청구를 하는 경우일 것
전속적 합의관할이 있는 경우도 적용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1) 관할의 창설
순서
원고가 하나의 소로써 여러청구를 하는 경우에 그 중 하나의 청구에 관하여 토지관할이 있으면 본래 그 법원에 법정관할이 없는 나머지 청구도 그 곳에 재판적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다.
(4) 관련재판적의 efficacy
수소법원이 한 청구에 관할권을 가지는 요인은 제2조 내지 제24조에 의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지정관할(제28조), 합의관할(제29조), 변론관할(제30조)에 의해 관할권을 가져도 무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