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한국역사(歷史) - 동국여지승람에 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21:14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한국역사 - 동국여지승람에 관해.hwp
[사회과학] 한국역사(歷史) - 동국여지승람에 관해
[사회과학] 한국역사(歷史) - 동국여지승람에 관해
Download : [사회과학] 한국역사 - 동국여지승람에 관해.hwp( 21 )
![[사회과학]%20한국역사%20-%20동국여지승람에%20관해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5%9C%EA%B5%AD%EC%97%AD%EC%82%AC%20-%20%EB%8F%99%EA%B5%AD%EC%97%AC%EC%A7%80%EC%8A%B9%EB%9E%8C%EC%97%90%20%EA%B4%80%ED%95%B4_hwp_01.gif)
![[사회과학]%20한국역사%20-%20동국여지승람에%20관해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5%9C%EA%B5%AD%EC%97%AD%EC%82%AC%20-%20%EB%8F%99%EA%B5%AD%EC%97%AC%EC%A7%80%EC%8A%B9%EB%9E%8C%EC%97%90%20%EA%B4%80%ED%95%B4_hwp_02.gif)
![[사회과학]%20한국역사%20-%20동국여지승람에%20관해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5%9C%EA%B5%AD%EC%97%AD%EC%82%AC%20-%20%EB%8F%99%EA%B5%AD%EC%97%AC%EC%A7%80%EC%8A%B9%EB%9E%8C%EC%97%90%20%EA%B4%80%ED%95%B4_hwp_03.gif)
레포트/인문사회
``목차``
1. 편찬 배경
2. 편찬 과정
3.《동국여지승람》과 《대명일통지》비교
4. 내용
1)행정 관련 조항
2)경제 관련 조항
3)군사 관련 조항
4)예속 관련 조항
5)인물 관련 조항
6)자연 관련 조항
5. 체제
6. 역싸관과 사학사적 의의
7. 요약
동국여지승람
(1) 편찬 배경
1. 조선 초기에 국가체제 정비의 필요 → 지리지에 대한 관심이 크게 고조
2. 여러 순서 지리지를 편찬
- 세종실록지리지(세종 14) : 통치기반을 확보하려는 목적 → 정치경제군사 등 통치에 직접 필요한 실용적 내용들 실림.
- 팔도지리지(성종 8) : 역싸文化(문화)예속 등 인문학적인 내용 증가.
⇒ 중앙government 의 통치기반이 안정되어 인문학적인 관심이 증가한 것을 의미.
(2) 편찬 ㅅ과정
1. 1476년 성종이 《팔도지리지》에 《동문선》에 수록된 동국문사의 시문을 첨입(添入)하라는 명을 내리면서 편찬되기 시...
``목차``
1. 편찬 배경
2. 편찬 과정
3.《동국여지승람》과 《대명일통지》비교
4. 내용
1)행정 관련 조항
2)경제 관련 조항
3)군사 관련 조항
4)예속 관련 조항
5)인물 관련 조항
6)자연 관련 조항
5. 체제
6. 역싸관과 사학사적 의의
7. 요약
동국여지승람
(1) 편찬 배경
1. 조선 초기에 국가체제 정비의 필요 → 지리지에 대한 관심이 크게 고조
2. 여러 순서 지리지를 편찬
- 세종실록지리지(세종 14) : 통치기반을 확보하려는 목적 → 정치경제군사 등 통치에 직접 필요한 실용적 내용들 실림.
- 팔도지리지(성종 8) : 역싸文化(문화)예속 등 인문학적인 내용 증가.
⇒ 중앙government 의 통치기반이 안정되어 인문학적인 관심이 증가한 것을 의미.
(2) 편찬 ㅅ과정
1. 1476년 성종이 《팔도지리지》에 《동문선》에 수록된 동국문사의 시문을 첨입(添入)하라는 명을 내리면서 편찬되기 처음 . 1481년 완성. 편찬체제는 남송의 《방여승람》과 명의 《대명일통지》를 참고. → 편찬자인 훈신들의 입장이 많이 반영.
2. 1485년 수definition 必要性 느낌.《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1)의 체제에 따라 개편하도록 지시. 고적 편목이 첨가되었으며, china(중국) 의 지리지에 없는 성씨, 봉화불을 꽂던 봉수의 양조 등이 신설. → 군주의 입장과 신진 사림들의 입장도 반영.
3. 1499년(연산군 5) 임사홍, 성현 등이 부분적인 교정과 보충. → 내용상으로는 큰 변동이 없었음.
4. 1528년(중종 23) 증보하기 처음 . 속편 5권을 합쳐 전 55권으로 완성.1531년 완성간행 → 《신증동국여지승람》
이 중종시대본은 임진왜란을 겪은 후 희귀해져, 현재는 日本(일본) 경도대학 소장본이 유일하며, 1611년(광해 3년)에 복간한 목판본이 규장각도서 등 국내에 소장되어 있다
(3) 《동국여지승람》과 《대명일통지》비교
1. 공통점 - 두 지리지의 공통되는 편목이 16…(생략(省略))
[사회과학] 한국역사 - 동국여지승람에 관해 , [사회과학] 한국역사 - 동국여지승람에 관해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한국역사 동국여지승람 관해
순서
사회과학,한국역사,동국여지승람,관해,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