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의 최초판매원칙에 대한 수정원리와 국제동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23:18본문
Download :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매원칙에 대한 수정원리와 국제동향.hwp
저작권에서도 저작권법 제43조 제1항에서 “저작물의 원작품이나 그 복제물이 배포권자의 특허를 받아 판매의 방법으로 거래에 제공된 경우에는 이를 계속하여 배포할 수 있다 ”고 규정하고 있고, 소프트웨어의 경우 컴퓨터프로램보호법 제19조 제1항에서 “호로그램저작권자 또는 호로그램의 배타적 발행권자의 허락을 받아 원호로그램 또는 그 복제물을 판매의 방법으로 거래에 제공한 경우에는 이를 계속하여 배포할 수 있다 ”라고 규정하여 저작권도 최초판매이론(理論)의 예외가 될 수 없음을 입법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유체물의 양도를 전제로 하여 배포권이 소멸되는 최초판매이론(理論)은 기술발전에 따라, 특히 Internet의 보급과 전송을 통한 저작물의 이전이 일상화되는 현대사회에 …(To be continued )
다. 상표권의 경우, 상표를 표시한 상품이 권리자에 의해 적법하게 유통될 수 있는데 이때에도 그 후의 유통에 대상으로하여는 상표권을 침해 하지 않는다. 특허권의 경우 특허품이 적법하게 생산?판매된 경우에 그 양수인 등에 의한 특허상품의 판매나 사용 등은 특허 침해를 구성하지 않는데 그 이론(理論)적 근거 중 하나가 특허권을 정당하게 행사함으로써 특허권을 이미 사용하였다는 권리소진이론(理論)이다.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매원칙에 대한 수정원리와 국제동향
Download :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매원칙에 대한 수정원리와 국제동향.hwp( 35 )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매원칙에 대한 수정원리와 국제동향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매원칙에 대한 수정원리와 국제동향기타레포트 , 디지털 시대 최초판매원칙 수정원리와 국제동향
순서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매원칙에 대한 수정원리와 국제동향
디지털 시대의 최초판매원칙에 대한 수정원리와 국제동향
Ⅰ. 서론
Ⅱ. 전통적 최초판매이론(理論)
1. 의의 및 이론(理論)적 근거
2. 적용요건
3. 效果(효과)와 적용범위
Ⅲ. 디지털 環境에서의 전통적 최초판매원칙의 문제가되는점
Ⅳ. 디지털 최초판매원칙의 모색을 위한 국제동향
1. 국제조약
2. 미국
3. 유럽연합(EU)
Ⅴ. 최초판매원칙의 수정
1. 저작물의 무형적 보급의 확산과 디지털 최초판매원칙
2. 기술적 보호조치의 적용과 최초판매원칙
3. 대량유통 이용계약을 통한 보급과 최초판매원칙
Ⅵ. conclusion
【 참 고 문 헌 】
Ⅰ. 서론
최초판매의 원칙1)은 지적재산권 전반에 걸쳐 존재하는 이론(理論)이다. 이 이유도 권리자가 권리를 이미 행사하여 권리가 없어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레포트/기타
디지털,시대,최초판매원칙,수정원리와,국제동향,기타,레포트
설명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