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상하부와 비만과의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23:54본문
Download : 시상하부와 비만과의 관계_3230068.hwp
흰쥐에서 시상 하부의 안쪽 부위를 파괴하였더니, 그 쥐들은 식욕이 왕성해지기 처음 하여 곧 뚱뚱해졌다. 따라서, 위가 비어서 배고픔을 느낀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임을 알게 되었다. 식욕은 배가 고픈 데에서 처음 된다된다.
,생활전문,레포트
순서






설명
시상하부와비만의관계
시상하부의 작용과 기능 및 비만과의 관계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그 결과 수컷은 먹이를 거들떠보지도 않고 암컷에게만 관심을 나타내었다. 주로 날씬해지기 위해 습관적으로 구토하고, 설사약을 복용하거나 심한 운동을 하기도 한다…(省略)
Download : 시상하부와 비만과의 관계_3230068.hwp( 61 )
시상하부의 작용과 기능 및 비만과의 관계에 마주향하여 작성했습니다.
그 후 뇌를 연구하던 미국의 학자들이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런데 시상 하부 바깥쪽에 전극 장치를 하여 약한 전류를 흘러 주면 금방 암컷에게는 관심을 갖지 않고 먹이만을 먹기 처음 한다.
성숙한 쥐의 수컷과 암컷을 같은 상자에 넣은 뒤 먹이를 많이 넣어 주었다. 이러한 현상은 다른 동물에게서도 똑같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 實驗을 통해 식욕을 지배하는 중추는 시상 하부에 존재함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시상 하부와 식욕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實驗을 하였다.시상하부와비만의관계 , 시상하부와 비만과의 관계생활전문레포트 ,
레포트/생활전문
시상하부와 비만과의 관계
Ⅰ. 시상하부란
Ⅱ. 시상하부의 작용
Ⅲ. 시상하부의 기능
Ⅳ. 비만이란
Ⅴ. 시상하부와 비만과의 관계
Ⅵ. 거식증과 폭식증
Ⅴ. 시상하부와 비만과의 관계
우리 몸에서 식욕을 조절하는 곳은 위이다. 또, 자극을 중지하면 수컷은 먹이를 먹는 것을 그만두고, 처음과 같이 암컷에게만 관심을 보였다. 이것으로부터 시상 하부의 안쪽 부위가 파괴되면 아무리 먹어도 배가 부름을 느끼지 못할 것이라고 추측하게 되었다.
이번에는 시상 하부의 안쪽에 전극을 꽂고 전류를 흘려 보았더니, 바깥쪽 부분을 자극했을 때와 반대의 행동을 나타내었다. 과학자들은, 배가 고파지는 것은 위가 비게 되어 그 신호가 뇌로 전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이들은 극단적으로 음식을 거부한다.
Ⅵ. 거식증과 폭식증
(1) 거식증이란
밥을 앞에 두고도 제대로 먹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아 거식증(拒食症) 환자들이다.
다. 그러나 위를 전부 잘라 낸 위암 환자의 경우에도 배고픔을 느끼고 식욕도 생긴다. 또한, 시상 하부가 손상된 환자를 대상으로 實驗한 결과, 시상 하부의 바깥쪽에는 식욕 중추가, 안쪽에는 포만 중추가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