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구와 사림에 대한 역사적 인식과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6 12:38
본문
Download : 훈구와 사림에 대한 역사적 인식과 이.hwp
(훈구․사림의 본질적 차이에 대한 논쟁)
-1970년대 조선전기 개별 정치세력에 대한 새로운 인식
-일제 식민사학자들의 인식
.
-식민사관 극복차원에서 한민족의 정치적 능력에 대한 역사(歷史)적 검토
▷한영우: 훈구세력을 긍정적으로 인식
-influence(영향)
훈구와 사림에 대한 역사적 인식과 이해
훈구와 사림에 대한 역사적 인식과 이해
-훈구․사림세력을 무능한 정치세력으로 인식
Ⅱ. 훈구와 사림에 대한 인식
순서
훈구와 사림에 대한 역사적 인식과 이해 훈구와 사림에 대한 역사적 인식과 이해 훈구와 사림에 대한 역사적 인식과 이해
-훈구․사림 세력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
1. 당파성론에 따른 훈구․사림의 이해
훈구와 사림에 대한 역사적 인식과 이해
▷훈구․사림의 연속적 이해: 사화를 대신과 삼사의 대립으로 파악
Download : 훈구와 사림에 대한 역사적 인식과 이.hwp( 23 )
설명
▷훈구․사림의 단절적 이해: 사화를 훈구와 사림세력의 대립으로 파악
-선조이후 사림의 승리: 붕당의 전개 양상에 관심 집중
-한민족의 정치적 무능 증명 위한 事例로 사화․당쟁 제시됨(당파성론)
-식민지배 정당화 위한 부정적 관점에서 연구 이루어짐
훈구와 사림에 대한 역사적 인식과 이해
훈구와 사림에 대한 역사적 인식과 이해
-1970년대 근세사론, 붕당정치론 등장
.
(훈구․사림 중 어느 세력을 더 긍정하는가에 대한 논쟁)
3. 해방이후
1. 조선시대



-한민족의 역사(歷史)를 분열과 정쟁만 일삼아온 혼란한 역사(歷史)로 규정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조선후기 「당론서」: 붕당정치의 변화과정에 초점 맞추어 조선시대 정치사 정리(整理)
훈구와 사림에 대한 역사(歷史)적 인식과 이해
-日本(일본)인에 의해 사화에 대한 학문적 관심 제기됨
-16세기 후반 「해동야언」: 훈구․사림의 대립 상과 역사(歷史)성에 대해 인식
2. 일제시대
▷이태진: 사림세력을 긍정적으로 인식
-사화를 무능한 정치세력의 분열과 대립이라는 부정적 측면에서 주목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