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data(자료)] 다이오드의 property(특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16:08
본문
Download : [레포트자료] 다이오드의 특성.hwp
(직류 변환장치의 고속제어 특성(特性)으로 기존 계통의 단락용량을 증가 시키지 않고 새로운 계통을 연계시킬 수 있다 )
(4) 직류계통의 써지 배수는 교류계통에 …(생략(省略))
레포트자료,다이오드,특성,기타,레포트
![[레포트자료]%20다이오드의%20특성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20%EB%8B%A4%EC%9D%B4%EC%98%A4%EB%93%9C%EC%9D%98%20%ED%8A%B9%EC%84%B1_hwp_01.gif)
![[레포트자료]%20다이오드의%20특성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20%EB%8B%A4%EC%9D%B4%EC%98%A4%EB%93%9C%EC%9D%98%20%ED%8A%B9%EC%84%B1_hwp_02.gif)
![[레포트자료]%20다이오드의%20특성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20%EB%8B%A4%EC%9D%B4%EC%98%A4%EB%93%9C%EC%9D%98%20%ED%8A%B9%EC%84%B1_hwp_03.gif)
Download : [레포트자료] 다이오드의 특성.hwp( 71 )
레포트/기타
순서
[리포트data(자료)] 다이오드의 property(특성)
[리포트data(자료)] 다이오드의 property(특성)
다.
이런식으로 정류를 하는 것이 다이오드의 역할입니다.
(3) 교류계통을 직류계통을 통해서 연계하면, 단락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게 되어 대용량의 차단기가 필요치 않다.
직류송전의 장단점의 요약
1) advantage(장점)
(1) 직류송전은 교류계통과 같은 안정도에 문제가 없다.
하지만 교류는 주기적으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고 다시 -방향으로 전류가 흐는 것을 반복합니다. 특히 케이블의 정전용량에 의한 송전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 변환설비와 송전선로의 경우 대략 20-30kM 이상이면 경제적이다
- 765kV급 가공 T/L에서는 긍장 500kM이상, 지중송전의 경우 40kM 이상일 때 경제성이 있다고 한다. 다이오드를 이용하면 -부분은 다이오드가 걸러 주게 됩니다.
- 日本(일본)의 경우 UHV 송전 특별위원회는 10GW 송전시 600kM이상이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설명
[레포트자료] 다이오드의 특성 , [레포트자료] 다이오드의 특성기타레포트 , 레포트자료 다이오드 특성
다이오드의 특성(特性)
- 다이오드는 정류를 하는 소자 입니다.(Pmax=V1V2/X sinδ에 의해 제한을받으나, 직류의 경우 정태 안정도에 의한 제한이 없으므로, theory 상 거리에 관계없이 전류용량의 한도까지 송전이 가능하다)
(2) 교류 송전방식에 比하여 코로나 손실이 매우 적고 유효전력(역율이 1)만으로 송전되므로 교류계통의 충전전류 및 훼란티 같은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무효전류에 의한 손실이 없으므로 송전효율이 매우 높다.
아까와 같은 파형이지만 -부분은 삭제가 된것을 볼수 있습니다.
정류라는 것은 원하는 방향으로만 전류를 흘려 보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교류를 다이오드가 있는 회로에 흘렸다고 생각하고 제가 원하는 방향은 +쪽으로만 전류가 흐르길 바라는 것입니다.
다이오드를 2개 나 브릿지 회로를 잉요하면 -부분도 +로 방향을 바꿀수도 있고 캐패시터와 함께 이용하면 직류 전압을 생성 할수도 있습니다.